728x90
반응형
내부등급법
내부등급법 (Internal Ratings-Based Approach)
내부등급법은 은행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신용위험 측정모형을 활용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은행은 자신의 위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내부등급법의 특징
- 위험 민감도 제고: 은행 자체 개발 모형을 사용하여 신용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자본 효율성 제고: 내부등급법 적용 시 표준방법 대비 자본부담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감독당국 승인 필요: 내부등급법 적용을 위해서는 감독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국내 은행의 내부등급법 적용 현황
- 국민은행은 내부등급법을 감독기구로부터 승인받아 적용 중입니다.
- 나머지 17개 국내 은행은 표준방법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 일부 은행은 내부등급법 도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관련 법규
내부등급법 적용과 관련된 주요 법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은행법」
-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 「금융회사의 건전성 감독에 관한 규정」
종합하면, 내부등급법은 은행의 위험 측정 및 자본 관리 능력을 제고하는 방식으로, 국내에서도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감독당국의 승인을 받아 내부등급법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내부등급법 도입과 관련하여 은행의 데이터 관리 및 모형 개발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은행들은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생산성 (0) | 2024.05.17 |
---|---|
내부자금 (0) | 2024.05.16 |
기업의 수입수출과 환율의 상관관계 (0) | 2024.05.13 |
웩더독(Wag the Dog) 현상 (1) | 2024.05.12 |
주가순자산비율 PBR (0)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