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담보인정비율 LTV

by 자부리 2024. 6. 2.
728x90
반응형

담보인정비율 LTV

담보인정비율 LTV

 

담보인정비율(LTV) 개요
- 담보인정비율(Loan-to-Value ratio, LTV)은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심사할 때 적용하는 규정입니다.
- 대출을 받을 때 담보로 제공하는 자산(부동산, 자동차 등)의 가치 대비 대출금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 금융기관은 대출 시 LTV를 고려하여 대출 한도를 결정하며, 이를 통해 대출 위험을 관리합니다.

LTV 계산 방식
- LTV = (대출금액 / 담보자산 가치) x 100
- 예를 들어, 담보자산 가치가 1억 원이고 대출금액이 6천만 원이라면 LTV는 60%가 됩니다.

LTV 활용 및 규제
- 금융기관은 LTV를 통해 대출 위험을 관리하며, 일반적으로 LTV가 낮을수록 대출 승인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LTV 규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LTV 한도를 70%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LTV 관련 추가 정보
- 담보인정비율은 대출 상품별로 다르게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부동산이 자동차보다 높은 LTV를 인정받습니다.
- LTV 외에도 DTI(Debt-to-Income ratio, 총부채상환비율)가 대출 심사 시 고려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금융기관은 LTV와 DTI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대출 한도를 결정합니다.

종합적으로 담보인정비율(LTV)은 대출 심사 시 핵심적인 지표로 활용되며, 정부의 부동산 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금 출자전환  (3) 2024.06.05
대체재  (3) 2024.06.03
단리/복리  (4) 2024.05.30
주식용어 ROE  (1) 2024.05.26
PER(주가수익비율) 이해하기  (0) 202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