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독점/과점

by 자부리 2024. 6. 9.
728x90
반응형

독점/과점

독점/과점

 

■ 독점(Monopoly)
- 독점은 한 기업이나 단체만이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장 상황을 말합니다. 
- 독점이 성립되려면 공급자가 유일하고, 대체재가 없으며, 신규 진입이 어려운 진입 장벽이 존재해야 합니다.
- 독점 시장에서는 한 기업이 전체 산업을 형성하게 되며, 경쟁 압력이 없어 게으르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독점 시장의 예시
1. 케이블 TV 시장: 
   - 대한민국에서 케이블 TV 시장은 독점 시장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 소수의 대형 케이블TV 사업자들이 지역별로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2. 동인 시장: 
   - 동인 시장은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2차 창작물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독점적 시장입니다. 
   - 코믹월드 등 일부 대형 동인 행사 주최사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독점 폐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3. 우편 서비스:
   - 우편 서비스는 전통적으로 국가가 독점적으로 운영해 온 대표적인 독점 시장입니다. 
   - 최근 민간 택배 업체의 성장으로 경쟁이 일부 도입되고 있지만, 여전히 우편 서비스 시장은 국가 독점 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4. 전기 및 가스 공급:
   - 전기와 가스 공급 시장은 자연독점 성격이 강해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영 기업이 독점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최근 일부 국가에서 전력 시장의 부분적 자유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독점적 시장 구조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 과점(Oligopoly)
- 과점은 소수의 공급자가 시장을 장악하고 수요의 대부분을 공급하는 시장 형태를 말합니다. 
- 일반적으로 4개 이하의 공급자가 존재하는 경우를 과점으로 간주합니다.
- 과점 시장은 독점과 완전경쟁의 중간 단계로, 규모의 경제와 브랜드 인지도로 인해 소수의 대기업이 시장을 장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통신, 정유 등 대규모 인프라가 필요한 산업에서 과점 현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과점 시장의 예시

1. 이동통신 시장:
   - 대한민국의 이동통신 시장은 대표적인 과점 시장입니다. 
   - SKT, KT, LG U+ 등 3개의 주요 통신사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소수의 공급자가 시장을 지배하는 과점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 이동통신 시장의 과점 구조로 인해 요금 인상, 서비스 차별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2. 정유 시장:
   - 국내 정유 시장 또한 과점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4개의 주요 정유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정유 기업들이 가격 담합 등의 반경쟁적 행위를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3. 항공 시장:
   - 국내 항공 시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두 개의 주요 항공사가 과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이로 인해 항공권 가격 인상, 노선 축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제약 시장:
   - 제약 시장 또한 소수의 대형 제약 기업이 주도하는 과점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 이로 인해 의약품 가격 인상, 신약 개발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과점 시장은 주로 규모의 경제, 브랜드 인지도 등으로 인해 소수의 대기업이 시장을 장악하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과점 시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와 경쟁 정책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버리지 효과  (1) 2024.06.12
커플링/ 디커플링  (1) 2024.06.10
더블딥  (2) 2024.06.07
대출금 출자전환  (3) 2024.06.05
대체재  (3) 2024.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