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매몰원가(Sunk Cost)란?
매몰원가(Sunk Cost)란?
매몰원가(Sunk Cost)는 이미 지출되었거나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는 의사결정을 할 때 고려해서는 안 되는 비용입니다. 왜냐하면, 매몰원가는 미래의 비용이나 수익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어떤 선택을 하든 변하지 않는 고정된 비용이기 때문입니다.
매몰원가의 특징
- 이미 발생한 비용
- 과거에 지출되어 회수할 수 없는 비용입니다.
-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함
- 향후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비용이므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무시해야 합니다.
- 회수 불가능한 비용
- 어떤 선택을 하든 돌려받을 수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의사결정에 포함시키면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매몰원가의 예시
- 공연 준비 비용
- 예를 들어, 아내가 역사적 뮤지컬을 준비하면서 1,000만 원을 투자했는데, 공연 직전에 예상보다 높은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이때, "지금까지 쓴 1,000만 원이 아까우니 무조건 공연을 강행해야 한다"는 결정은 비합리적입니다.
- 앞으로 추가되는 비용과 기대되는 수익을 비교하여 공연을 진행할지 중단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 R&D 비용
- 한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가(예: (주)삼일) 새로운 엔진 부품 개발에 2억 원을 투자했지만, 더 이상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되었습니다.
- 이때, "이미 2억 원을 썼으니 계속 투자해야 한다"는 판단은 잘못된 것입니다.
- 오히려 향후 추가적인 투자 대비 기대 수익을 분석하여 계속할지 포기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 영화 티켓 비용
- 2만 원짜리 영화 티켓을 샀는데, 영화가 너무 재미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이미 2만 원을 썼으니 끝까지 봐야 한다"는 생각은 매몰원가의 오류입니다.
- 대신 남은 시간을 더 가치 있게 사용할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합니다.
매몰원가 오류(Sunk Cost Fallacy)
매몰원가 오류란, 이미 지출한 비용이 아까워서 비효율적인 결정을 내리는 심리적 함정을 의미합니다.
- 기업이 실패한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하는 경우
- 개인이 자신에게 맞지 않는 직업을 포기하지 않는 경우
- 사람들이 손해를 보면서도 투자를 지속하는 경우
✔ 해결 방법: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매몰원가를 무시하고, 미래의 수익과 비용만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매몰원가는 이미 지출된 비용이며, 회수할 수 없으므로 미래의 의사결정에서 고려하지 않는 것이 올바릅니다.
따라서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현재와 미래의 비용 및 수익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원가계산(Standard Costing) (0) | 2025.02.14 |
---|---|
재무상태표상 자본금 (0) | 2025.02.13 |
기말자본금 계산하기 (0) | 2025.02.12 |
선수금이란? (0) | 2025.02.11 |
조업도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