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익인식
1. 수익인식의 5단계 접근법 (IFRS 15 및 ASC 606)
수익인식의 핵심은 고객과의 계약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언제, 얼마만큼 인식할 것인가입니다. 이 기준에 따라 수익은 아래의 5단계를 거쳐 인식됩니다.
(1) 계약 식별 (Identify the Contract)
- 고객과의 계약이 존재하고, 양측이 계약을 승인했으며, 각각의 권리와 지급 조건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어야 합니다.
- 계약의 상호성도 중요하며, 계약이 이행될 가능성이 높은 지를 확인합니다.
(2) 수행의무 식별 (Identify the Performance Obligations)
- 계약에서 고객에게 제공하기로 한 별개의 상품 또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 계약 내 각 수행의무는 독립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지, 또는 패키지로 제공되어야 하는지를 구분하여 인식합니다.
(3) 거래가격 결정 (Determine the Transaction Price)
- 거래가격은 고객이 지급하기로 한 금액을 의미하며, 고정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가변적인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고객이 일정 기준을 달성했을 때 발생하는 성과급, 할인가격, 혹은 환불 등이 가변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거래가격의 수행의무 배분 (Allocate the Transaction Price to the Performance Obligations)
- 계약에 따른 거래가격을 각 수행의무에 합리적으로 배분합니다.
- 만약 각 수행의무별 개별 판매 가격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이를 추정하여 배분합니다.
(5) 수행의무 이행 시점에 수익 인식 (Recognize Revenue When (or As) Performance Obligations are Satisfied)
- 수익은 수행의무가 이행될 때 인식되며, 수행의무가 이행된 시점 또는 기간에 따라 수익을 인식합니다.
- 시점(Point in Time): 고객이 통제권을 취득한 특정 시점에서 수익을 인식합니다.
- 기간(Over Time):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되거나 재화가 일정 기간 동안 이행되는 경우, 특정 기간 동안 수익을 인식합니다.
2. 수익인식 사례
- 제품 판매: 기업이 제품을 고객에게 인도하고, 고객이 통제권을 확보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제품을 고객에게 배송 완료한 시점에 인식됩니다.
- 서비스 제공: 예를 들어, 컨설팅 서비스는 고객이 해당 서비스를 수혜하는 동안 일정 비율로 수익이 인식됩니다.
- 장기 계약: 건설업과 같은 경우, 계약 이행이 진행됨에 따라 누적 비용 대비 매출을 인식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3. 주의할 점
- 성과급 및 리베이트: 수익에 포함된 가변적 보상요소는 정확히 측정되어야 합니다.
- 환불 및 보증: 환불 및 보증이 예상되는 경우, 이를 별도로 측정하여 수익에 반영해야 합니다.
- 주문변경: 계약이행 중에 발생하는 주문 변경은 원래의 계약에 포함하거나, 새로운 계약으로 간주할지 판단하여야 합니다.
4. 수익인식 변경의 영향
수익인식 기준이 강화되면서 기업은 보다 일관된 수익 인식을 통해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