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요구불예금
요구불예금(要求払預金, Demand Deposit)은 예금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인출할 수 있는 예금입니다. 이는 은행이 예금주에게 일정한 조건 없이 예금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는 예금 형태로, 유동성이 매우 높은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다음은 요구불예금의 주요 특징과 관련된 정보입니다:
1. 정의 및 기본 개념
- 요구불예금은 예금자가 금융기관에 맡긴 돈을 언제든지 요청(demand)하면 인출할 수 있는 예금입니다.
-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으로, 만기일이나 특정 인출 제한이 없기 때문에 현금처럼 사용됩니다.
2. 주요 종류
- 보통예금: 개인이나 기업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예금. 급여 수령, 공과금 자동이체, 체크카드 결제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 당좌예금: 주로 기업에서 사용하는 형태로, 수표 발행을 전제로 하는 예금입니다. 잔액 이상으로 수표가 발행될 경우 "부도" 처리될 수 있습니다.
3. 특징
- 언제든지 인출 가능: 은행 창구, ATM, 인터넷 뱅킹 등 다양한 경로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습니다.
- 이자율이 낮거나 없음: 유동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정기예금 등에 비해 이자율이 낮거나 아예 없습니다.
- 자금 결제의 중심 수단: 기업의 자금 운용, 개인의 소비 활동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현금과 유사한 유동성: 회계에서는 현금성 자산으로 분류되며, 현금처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4. 회계처리
회계상으로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항목에 포함됩니다. 특히, 기업의 유동성 분석 시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예시:
차변: 보통예금 1,000,000 대변: 매출 1,000,000
(상품을 판매하고 대금을 보통예금 계좌로 입금받은 경우)
5. 요구불예금과 기타 예금의 비교
항목 요구불예금 정기예금
인출 가능 시점 | 언제든지 | 만기일 이후 |
유동성 | 매우 높음 | 낮음 |
이자율 | 낮거나 없음 | 상대적으로 높음 |
용도 | 일상적인 자금 관리 | 자산 운용, 이자 수익 목적 |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액가맹금 (0) | 2025.04.29 |
---|---|
인구요인과 소비성향(KDI) (2) | 2025.04.26 |
외국환평형기금(외평채) (0) | 2025.04.22 |
배당금이란? (0) | 2025.04.21 |
팜에어 한경농산물 가격지수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