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중배분율법(Double-Rate Method) 개요
이중배분율법(Double-Rate Method) 개요
이중배분율법은 보조부문의 제조간접원가를 변동비와 고정비로 분리하여 배분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보조부문의 제조간접원가는 제조부문(조립, 가공, 수선 등)에 배분되는데, 이를 보다 합리적으로 배분하기 위해 변동비와 고정비를 각각 다른 기준을 사용하여 배분하는 것이 이중배분율법입니다.
1. 이중배분율법의 절차
이중배분율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① 변동제조간접원가 배분
- 변동비는 **실제 사용량(기계시간, 노동시간 등)**을 기준으로 배분합니다.
- 이유: 변동비는 생산량이나 사용량에 따라 변하기 때문입니다.
②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분
- 고정비는 **최대 사용 능력(최대 기계시간, 최대 수용량 등)**을 기준으로 배분합니다.
- 이유: 고정비는 특정 생산량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비용이므로, 최대 사용 능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공정하기 때문입니다.
2. 이중배분율법의 예제
[문제 상황]
보조부문의 제조간접원가(변동비 + 고정비)를 조립부문과 수선부문에 배분하는 경우
- 보조부문 원가
- 변동비: 3,000,000원
- 고정비: 5,000,000원
- 제조부문의 기계시간 자료
- 조립부문:
- 실제 기계시간: 5,400시간
- 최대 기계시간: 8,800시간
- 수선부문:
- 실제 기계시간: 4,600시간
- 최대 기계시간: 7,200시간
- 조립부문:
① 변동비 배분
- 총 실제 기계시간 = 5,400 + 4,600 = 10,000시간
- 변동비 배분율 = 3,000,000 ÷ 10,000 = 300원/시간
- 배분액
- 조립부문: 5,400 × 300 = 1,620,000원
- 수선부문: 4,600 × 300 = 1,380,000원
② 고정비 배분
- 총 최대 기계시간 = 8,800 + 7,200 = 16,000시간
- 고정비 배분율 = 5,000,000 ÷ 16,000 = 312.5원/시간
- 배분액
- 조립부문: 8,800 × 312.5 = 2,750,000원
- 수선부문: 7,200 × 312.5 = 2,250,000원
③ 최종 배분 결과
구분변동비 배분액고정비 배분액총 배분액
조립부문 | 1,620,000 | 2,750,000 | 4,370,000 |
수선부문 | 1,380,000 | 2,250,000 | 3,630,000 |
3. 이중배분율법의 장점
✅ 변동비와 고정비를 분리하여 합리적으로 배분 → 실제 사용량과 최대 사용 능력을 고려한 정확한 원가 배분
✅ 비용 배분의 일관성 유지 → 변동비와 고정비의 성격을 명확하게 반영
✅ 정확한 원가 정보 제공 → 제조부문의 원가 산출이 더욱 정밀해짐
4. 이중배분율법 vs 단일배분율법
구분이중배분율법단일배분율법
배분 기준 | 변동비: 실제 사용량 / 고정비: 최대 사용 능력 | 변동비 + 고정비 합산하여 하나의 기준으로 배분 |
정밀도 | 🎯 더 정확함 | 단순하지만 덜 정확함 |
활용성 | 원가 관리가 중요한 기업에 적합 | 간단한 원가 배분이 필요한 경우 적합 |
결론
이중배분율법은 제조업에서 보조부문의 제조간접원가를 보다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배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변동비는 실제 사용량 기준, 고정비는 최대 사용 능력 기준으로 배분하여 정확한 원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