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90. 평가절하(경제금융 용어)

by 자부리 2023. 12. 4.
728x90
반응형

평가절하

평가절하

 

평가절하(Devaluation)는 한 나라의 통화가 외환 시장에서 다른 통화에 비해 가치를 상대적으로 잃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국내 통화의 환율이 하락하여 외국 통화에 대해 더 적은 가치를 나타내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주로 중앙은행이나 정부에 의해 조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가절하는 다양한 경제적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이유와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무역수지 불균형: 한 나라가 수출이 감소하거나 수입이 급증하여 무역수지에서 적자가 발생할 때, 외환 보유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때 정부나 중앙은행은 통화 가치를 하락시켜 수출 촉진이나 경상수지 흑자 유지를 목표로 할 수 있습니다.

2. 외환 보유액 감소: 한 나라가 대규모 외환 보유액을 갖고 있을 때, 이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통화 평가절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외환 보유액은 국제 거래 및 위기 대비를 위해 중요한 자산이기 때문에 이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3. 경제 위기: 금융 위기, 채무 위기, 높은 인플레이션 등의 경제적 문제로 통화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나 중앙은행은 통화의 평가절하를 통해 경제 안정화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평가절하의 영향은 복잡하며,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수출 촉진: 평가절하로 통화의 가치가 하락하면 수출품이 외국에서 더 저렴해지기 때문에 수출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2. 인플레이션 압력: 통화 평가절하가 지속되면 수입물가가 상승하게 되어 인플레이션 압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외채 부담 증가: 외화 부채를 갖고 있는 기업이나 정부는 평가절하로 인해 외채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국내 소비의 증가: 수출이 활성화되면 경제 성장이 촉진되고 국내 소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경제학적으로는 평가절하가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며, 적절한 시기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과도한 평가절하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거나 국내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평가절하 사례

 

평가절하는 다양한 국가에서 다양한 시기에 발생했으며, 이는 주로 정부나 중앙은행의 정책 결정, 경제 상황 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아래는 몇 가지 평가절하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중국 (1994년):
   - 사례: 중국은 1994년에 미국 달러 대비 인민폐 평가절하를 시행했습니다.
   - 배경: 중국 정부는 무역 촉진과 경제 성장을 목표로 인민폐의 고정환율제를 완화하고 시장 기반의 환율제도로 전환했습니다. 이로 인해 인민폐의 가치가 하락하며, 중국의 수출 경쟁력이 강화되었습니다.

2. 브라질 (1999년):
   - 사례: 브라질은 1999년에 통화 평가절하를 실시했습니다.
   - 배경: 브라질은 당시 금융 위기로 인해 통화 가치의 폭락과 하락 경제에 직면했습니다. 정부는 신규 통화제도 도입과 함께 통화 평가절하를 통해 경제의 안정을 추구했습니다.

3. 아르헨티나 (2002년):
   - 사례: 아르헨티나는 2002년에 경제 위기로 통화 평가절하를 경험했습니다.
   - 배경: 아르헨티나는 과도한 외채와 경제 불균형으로 인해 파산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정부는 통화 평가절하를 통해 경제의 회복을 시도하였으나,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실질적인 생활비의 상승 등 여러 부작용이 발생했습니다.

4. 터키 (2018년):
   - 사례: 터키는 2018년에 터키 리라 평가절하를 경험했습니다.
   - 배경: 터키는 경제 불안정, 외채 부담, 정치적인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통화가치 하락과 금융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이로 인해 정부는 통화 평가절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터키 리라의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평가절하 사례들은 주로 국가의 특별한 경제적 상황과 정책 결정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평가절하는 일반적으로 경제 안정을 회복하거나 경제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수단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평가절하는 인플레이션과 금융 불안을 유발할 수 있어 신중한 정책과 조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