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EBITDA란?

by 자부리 2025. 4. 23.
728x90
반응형

EBITDA란?

EBITDA란?

1. EBITDA란?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자로,
이자, 법인세,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를 차감하기 전의 이익을 의미합니다.

즉,
EBITDA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무형자산상각비


2. 구성요소

  • Earnings (이익): 일반적으로 순이익이나 영업이익을 기반으로 합니다.
  • Before Interest (이자 비용 전): 기업의 자금조달 구조(예: 차입금)에 따른 영향을 배제합니다.
  • Before Taxes (세금 전): 세법에 따른 차이를 제거하여 비교 가능성을 높입니다.
  • Before Depreciation (감가상각 전):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은 실제 현금 유출이 아니므로 제거합니다.
  • Before Amortization (무형자산상각 전): 무형자산 상각도 현금 유출이 아니므로 제외합니다.

3. 왜 EBITDA를 사용하는가?

  • 현금흐름 추정: EBITDA는 실제 현금 창출 능력을 반영하므로,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 비교 가능성: 자산 규모나 자금조달 방식, 세금 체계가 다른 기업 간 비교를 쉽게 합니다.
  • 가치평가: 기업가치(EV)를 EBITDA로 나누는 EV/EBITDA 배수는 기업 인수합병(M&A) 시 널리 쓰입니다.

4. EBITDA의 한계

  • **자본적 지출(capex)**은 반영하지 않음 → 실제 현금지출을 무시할 수 있음
  • 영업 외 수익/비용 무시 → 전체 재무 상태를 왜곡할 수 있음
  • 일부 회계상 조정으로 왜곡 가능 → 예: 고의적으로 감가상각을 줄여 EBITDA를 부풀릴 수 있음

5. 예시

어떤 회사의 재무정보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영업이익: 10억 원
  • 감가상각비: 2억 원
  • 무형자산상각비: 1억 원

이 경우 EBITDA는:

EBITDA = 10억 + 2억 + 1억 = 13억 원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