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경제, 금융, 회계용어520 예수금과 가수금 예수금과 가수금예수금과 가수금의 개념과 차이1. 예수금이란 무엇인가?**예수금(預收金)**은 기업이 임시로 보관하고 있는 돈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급여에서 원천징수한 소득세4대 보험료 중 근로자 부담분임직원 개인이 납부해야 할 세금, 보험료 등을 대신 납부하기 위해 일단 회사가 받아 놓은 금액즉, 예수금은 “나중에 국가나 기관에 납부하기 위해 받아둔 돈” 입니다. 회사 돈이 아니므로, 부채로 분류됩니다.🔷 예시직원이 월급을 받을 때 소득세 10만 원을 원천징수하면,회사는 이 10만 원을 예수금으로 처리하고, 다음 달 10일까지 국세청에 납부합니다.2. 가수금이란 무엇인가?**가수금(假受金)**은 회사가 돈을 받았는데 어떤 거래에서 생긴 돈인지 정확히 모를 때 임시로 잡는 계정과목입니다. 가수금의 .. 2025. 7. 7. 한국 증시가 저평가된 이유 한국 증시가 저평가된 이유한국 증시가 저평가된 이유1. 한국 증시의 낮은 PBR (주가순자산비율)한국 증시는 주요 선진국 대비 PBR이 1배를 밑도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기업의 순자산 가치보다도 낮은 가격으로 거래된다는 의미입니다. 글로벌 평균이 1.5~2배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저평가된 상태라 볼 수 있습니다.2.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기업들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고질적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이는 지정학적 리스크(북한 리스크), 낮은 기업 지배구조 투명성, 과도한 순환출자 구조 등으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에 프리미엄을 주지 않는 현상입니다.3. 낮은 배당성향선진국 시장 대비 한국 기업들의 배당성향이 낮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주주환원’ 매력이 적어, 밸류에이션 할인으로.. 2025. 7. 6. 커버드콜 액티브 커버드콜 액티브커버드콜 액티브란 무엇인가?1. 기본 개념커버드콜 액티브(Covered Call Active)는 주식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콜옵션(매수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을 말합니다.커버드콜이란?투자자가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그 주식에 대한 콜옵션을 매도해 프리미엄(옵션 매도 수수료)을 추가로 수익으로 얻는 전략입니다.**액티브(Active)**는?단순히 커버드콜만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상황을 분석해 옵션 매도 시점과 종목을 적극적으로 조절하는 운용 방식을 의미합니다.2. 왜 사용하는가?커버드콜 액티브는 수익과 방어를 동시에 추구합니다.추가수익: 옵션 매도 프리미엄으로 인한 고정적 현금 흐름 발생하락방어: 주가가 떨어질 경우 옵션 프리미엄이 일부 손실을 보전상승제한: 단, 콜옵션 매도 때문에 .. 2025. 7. 5. 대지급금 대지급금대지급금이란 무엇인가?대지급금은 회계나 세무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로, 간단히 말해 회사가 대신 지급한 돈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직원이 개인 경비를 지출해야 하는데 회사가 우선 그 비용을 대신 지급해 주는 경우, 회사 입장에서는 이를 ‘대지급금’으로 처리합니다. 또 다른 예로, 거래처가 내야 할 비용을 회사가 먼저 지급하고 나중에 돌려받는 경우도 대지급금으로 기록됩니다.대지급금의 주요 특징자산 계정대지급금은 회사가 다른 사람을 대신해 지급한 돈이므로 회사의 자산으로 처리됩니다. 즉, 다시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이기 때문에 자산 계정에 잡히게 됩니다.임시적인 성격대지급금은 영구적인 비용이 아니며, 언젠가는 상대방에게 다시 받아야 할 돈입니다. 따라서 회계상 ‘임시적 지급’으로 보고 관리합니다.사용.. 2025. 7. 4. 이전 1 2 3 4 5 ··· 130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