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긴급수입제한조치

by 자부리 2024. 5. 1.
728x90
반응형

긴급수입제한조치

긴급수입제한조치

 

세이프가드(Safeguard)는 국가가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시행하는 무역 정책 중 하나입니다. 세이프가드는 국내 산업에 대한 불공정한 무역 경쟁이나 외국 제품의 과도한 수입으로 인해 국내 산업이 피해를 입을 경우에 적용됩니다.

긴급수입제한조치(Safeguard Measures)는 세이프가드의 한 형태로, 국가가 긴급하게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하는 조치입니다. 이러한 조치는 일시적으로 다른 국가로부터의 제품 수입을 제한하거나 조절함으로써 국내 산업을 지원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긴급수입제한조치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임시적 조치: 긴급수입제한조치는 일시적으로 시행되며, 국내 산업이 무역 압력이나 경쟁으로부터 피해를 입는 상황에서만 사용됩니다.

2. 조사 및 절차: 세이프가드 조치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보호를 요청하는 산업의 요구에 따라 관련 조사 및 절차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는 국제 무역 기구에서 정해진 규정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3. 제품의 수입제한: 긴급수입제한조치는 주로 제품의 수입을 제한하거나 수입에 관한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시행됩니다. 예를 들어, 수입량의 한도 설정, 관세 인상, 수입 요건의 강화 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4. 다자간 협상: 세이프가드 조치의 시행은 다자간 무역 협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른 국가들은 이러한 조치가 자국의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세이프가드 및 긴급수입제한조치는 국제 무역에서 보호주의적 경향이 나타날 때 자주 사용되며, 국가들 간의 무역 분쟁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조치는 국제 무역 협상에서 중요한 이슈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수효과  (0) 2024.05.03
긴축정책 Contractionary Policy  (1) 2024.05.02
기회비용  (2) 2024.04.30
기축통화  (1) 2024.04.27
기초가격 basic price  (0) 2024.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