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낙수효과

by 자부리 2024. 5. 3.
728x90
반응형

 

낙수효과

 

이러한 주장은 주로 "하향식 경제 정책" 또는 "trickle-down economics"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경제적 혜택이 상위 계층에서 시작되어서 하위 계층으로 "똑똑히 떨어진다"는 개념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지지자들은 대기업과 고소득층에게 경제적 혜택을 주면 이들이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결국에는 이러한 성장이 전체 사회에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이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득 재분배: 고소득층에게 추가 소득과 부를 주면 그들은 더 많은 돈을 소비하고 투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와 투자가 증가하여 경제활동이 확대되고, 이는 결국에는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기업 투자 촉진: 대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이나 경제적 장려책은 기업이 새로운 설비나 기술 개발 등에 투자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산력의 향상과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3. 자본시장 활성화: 고소득층에게 추가적인 소득과 부를 주면 그들은 주식이나 부동산 등의 자산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자본시장의 활성화를 통해 기업 자금 조달이 촉진되고, 이로 인해 경제 성장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논란이 많습니다. 주요 비판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득 불평등 증대: 하향식 경제 정책은 종종 소득과 부의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고소득층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면서 하위 계층의 소득과 재산이 더욱 감소할 수 있습니다.

2. 경제적 효과의 불확실성: 고소득층이 추가 소득을 받아도 이를 소비하거나 투자할지에 대한 확신은 없습니다. 때로는 추가 소득이 저축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중소기업과 하위 계층의 배제: 하향식 정책은 종종 중소기업과 하위 계층의 경제적 발전을 강화하는데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대기업과 고소득층에 대한 혜택만을 강조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하향식 경제 정책은 논란이 많고 지지하는 의견과 반대하는 의견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가 경제 정책을 수립할 때에는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합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순자산비율 PBR  (0) 2024.05.10
낙인효과  (2) 2024.05.04
긴축정책 Contractionary Policy  (1) 2024.05.02
긴급수입제한조치  (0) 2024.05.01
기회비용  (2) 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