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대손상각비 연령분석법

by 고독한 탈무드 2025. 1. 21.
728x90
반응형

대손상각비 연령분석법

대손상각비 연령분석법

 

대손상각비 연령분석법은 매출채권의 회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령(채권의 발생 후 경과 일수)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경과 시간이 길어질수록 대손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1. 주요 특징

  1. 채권 연령별로 분류
    • 매출채권을 발생 후 경과 일수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눕니다.
      • 예: 30일 이하, 31~60일, 91일 이상 등
  2. 연령별 대손율 적용
    • 각 연령 그룹에 대손 가능성을 반영한 예상 대손율을 설정합니다.
      • 예: 경과 기간이 짧을수록 대손률이대손율이 낮고, 경과 기간이 길수록 대손율이 높습니다.
  3. 예상 대손액 계산
    • 각 그룹의 채권 잔액에 해당 대손률을 곱하여 예상 대손액을 계산합니다.
  4. 대손충당금 설정
    • 모든 연령 그룹의 예상 대손액을 합산하여 대손충당금을 조정합니다.

2. 계산 예시

(1) 매출채권 분류

경과 일수 범위매출채권 잔액 (원)예상 대손율 (%)

30일 이하 1,000,000 2%
31~60일 500,000 5%
61~90일 300,000 10%
91일 이상 200,000 20%

(2) 예상 대손액 계산

각 그룹의 예상 대손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30일 이하: 1,000,000 × 2% = 20,000원
  • 31~60일: 500,000 × 5% = 25,000원
  • 61~90일: 300,000 × 10% = 30,000원
  • 91일 이상: 200,000 × 20% = 40,000원

(3) 총 예상 대손액

총 예상 대손액은 모든 그룹의 합산 금액:

  • 20,000 + 25,000 + 30,000 + 40,000 = 115,000원

(4) 대손충당금 설정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을 115,000원으로 조정합니다.

  • 만약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이 90,000원이었다면:
    • 대손상각비 = 115,000 - 90,000 = 25,000원
    • 이를 손익계산서에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3. 장점과 단점

장점

  • 채권 회수 가능성을 연령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 과거 경험이나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대손률을 설정하므로 현실적인 추정이 가능합니다.

단점

  • 연령별 대손률 설정이 주관적일 수 있으며, 과거의 경험이 현재 상황에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며, 데이터 관리가 복잡할 수 있습니다.

4. 활용

이 방법은 대규모 매출채권을 보유한 기업, 특히 다양한 고객과 거래를 진행하는 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대형 유통업체나 금융기관이 고객 신용도를 평가하고 대손 비용을 예측하는 데 주로 활용됩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권 당첨금에 대한 원천징수세율 및 세금 계산  (0) 2025.01.31
최저한세란?  (1) 2025.01.23
연말정산  (0) 2025.01.20
기타사외유출  (1) 2025.01.18
경정청구  (0) 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