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상호관세(Mutual Tariffs)란?

by 자부리 2025. 4. 1.
728x90
반응형

상호관세(Mutual Tariffs)란?

상호관세(Mutual Tariffs)란?

상호관세(Mutual Tariffs)란?

상호관세(Mutual Tariffs)란 국가 간 무역에서 상대국이 부과한 관세에 대응하여 자국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의미한다. 이는 주로 보호무역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되며, 무역 전쟁(trade war)의 주요한 도구가 되기도 한다.


1. 상호관세의 개념 및 특징

  • 보복성(Reciprocal Nature): 상대국이 특정 품목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면, 이에 맞춰 동일한 품목 또는 다른 품목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특징이 있다.
  • 국제 무역 정책의 도구: 자유무역 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들 사이에서 특히 자주 사용된다.
  • 무역 마찰 유발: 서로 관세를 올리는 과정에서 무역 분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2. 상호관세의 주요 목적

  1. 무역 상대국의 관세 장벽에 대한 대응
    • 상대국이 자국 상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보복하여 균형을 맞추려는 목적이 있다.
  2. 자국 산업 보호
    • 특정 산업(예: 철강, 자동차 등)을 보호하기 위해 상대국이 낮은 가격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목적이 있다.
  3. 협상 도구
    • 상대국이 부과한 관세를 철폐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사용된다.
  4. 무역수지 개선
    • 자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무역수지를 개선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3. 상호관세의 예시

(1) 미중 무역전쟁 (2018~2020년)

  • 미국이 중국산 제품(철강, 전자제품 등)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미국산 제품(농산물, 자동차 등)에 대해 같은 방식으로 대응했다.
  • 결과적으로 양국의 수출입이 감소하고 글로벌 공급망에 혼란이 발생했다.

(2) 미국과 EU 간 항공기 보조금 분쟁 (2021년)

  • 미국과 EU는 각각 보잉(Boeing)과 에어버스(Airbus)에 대한 보조금 문제로 분쟁을 겪었다.
  • 이에 따라 미국은 EU산 제품(와인, 치즈, 올리브 등)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했고, EU도 미국산 제품(담배, 주류, 트랙터 등)에 대한 관세를 인상했다.

(3)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재임하는 동안 강력한 보호무역주의를 시행했다. 특히 "공정한 무역"을 강조하며 상호관세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1. 철강·알루미늄 관세(2018년)
    • 미국은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전 세계에서 수입하는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를 부과했다.
    • 이에 대해 캐나다, 유럽연합(EU), 중국 등 여러 국가가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2. 미중 무역전쟁(2018~2020년)
    • 2018년부터 미국은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이유로 수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 이에 대해 중국도 미국산 대두(콩), 자동차, 전자제품 등에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 무역 전쟁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졌고, 결국 2020년 1월 "1단계 무역 합의"를 통해 일부 관세를 완화하는 조치가 이루어졌다.
  3. 자동차 관세 위협
    • 트럼프 정부는 일본, 독일, 한국 등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도 높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협상력을 높이려 했다.
    • 이에 따라 해당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이 진행되었고, 일부 국가들과는 새로운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은 미국 내 제조업 보호와 무역적자 축소를 목표로 했으나, 장기적으로 글로벌 공급망과 세계 경제에 혼란을 초래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4. 상호관세의 장점과 단점

장점

  • 자국 산업 보호: 특정 산업이 불공정한 경쟁에서 보호받을 수 있다.
  • 협상력 강화: 상대국이 불공정한 무역 정책을 수정하도록 압박하는 효과가 있다.
  • 무역수지 개선 가능성: 전략적으로 활용하면 무역적자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단점

  • 소비자 부담 증가: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여 소비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 무역 전쟁 확산 위험: 상호 보복이 지속되면 무역 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 경제 성장 둔화: 글로벌 교역량이 감소하면서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결론

상호관세는 국가 간 무역에서 중요한 정책 도구로 사용되지만, 장기적으로 무역 전쟁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신중한 활용이 필요하며, WTO(세계무역기구) 등의 국제기구를 통한 협상과 조정이 중요하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란?  (0) 2025.04.04
순차입부채(Net Debt)란?  (0) 2025.04.03
상각전 영업이익(EBITDA)  (0) 2025.03.31
공매도란?  (0) 2025.03.30
자체 기획 상품(PB, Private Brand)  (0)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