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선수금이란?
선수금(先受金, Unearned Revenue)이란?
선수금은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고객으로부터 미리 받은 금액을 의미합니다. 즉, 아직 매출로 인식할 수 없는 부채 계정입니다.
💡 핵심 개념:
- 상품이나 용역을 제공할 의무가 남아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부채(선수금)로 기록합니다.
- 실제로 상품을 인도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면 매출로 인식하며, 선수금을 제거합니다.
- 대표적인 사례로는 상품권 판매, 선불 회원권, 건설업 선급금, 구독 서비스 수익 등이 있습니다.
📌 선수금 회계처리 예시
1. 선수금 발생 (고객이 미리 돈을 냄)
기업이 고객으로부터 미리 돈을 받으면 선수금(부채)으로 기록합니다.
예제: A사가 고객에게 1,000,000원짜리 가전제품을 선판매하고 현금을 받았지만, 제품은 아직 배송하지 않음.
📌 분개
(차) 현금 1,000,000 (대) 선수금 1,000,000
📌 설명:
- 현금이 들어왔으므로 자산(현금) 증가
- 아직 제품을 제공하지 않았으므로 매출로 인식하지 않고 부채(선수금)로 기록
2.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함 (매출 인식)
고객이 주문한 제품이 배송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면, 선수금을 없애고 매출로 인식합니다.
📌 분개
(차) 선수금 1,000,000 (대) 매출 1,000,000
📌 설명:
- 제품을 고객에게 인도했으므로 매출을 인식
- 선수금을 제거(부채 감소)
3. 부가가치세(VAT) 고려 (과세사업자일 경우)
부가세가 포함된 경우에는 선수금을 매출과 부가세로 나누어 인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1,100,000원(부가세 포함)을 선수금으로 지급한 경우:
📌 상품권 판매 시
(차) 현금 1,100,000 (대) 선수금 1,100,000
📌 상품권 사용 시
(차) 선수금 1,100,000 (대) 매출 1,000,000 (대) 부가세예수금 100,000
📌 설명:
- 실제 제품을 제공할 때 부가세를 인식해야 하므로, 매출과 부가세로 나눠 처리
📌 선수금과 비슷한 개념 비교
구분설명예시회계 처리
선수금 | 고객이 미리 돈을 냄 | 상품권, 선불회원권 | 부채(선수금)로 인식 후 매출로 대체 |
선급금 | 기업이 미리 돈을 냄 | 건설업 공사대금 선지급 | 자산(선급금)으로 기록 후 비용으로 대체 |
미수금 | 외상으로 돈을 받을 권리 | 외상판매 후 대금 미수령 | 자산(미수금)으로 기록 |
미지급금 | 외상으로 돈을 줄 의무 | 외상으로 원자재 구입 | 부채(미지급금)로 기록 |
📌 선수금과 관련된 주의사항
- 매출로 인식하는 시점이 중요함
- 제품이 배송되거나 서비스가 제공될 때 매출로 인식해야 합니다.
- 이를 어기고 선수금을 즉시 매출로 잡으면 회계 오류가 발생합니다.
- 오래된 선수금의 처리
- 일정 기간이 지나도 사용되지 않는 선수금(예: 상품권)은 기타 수익(영업 외 수익)으로 인식 가능
- 법적 이슈를 피하려면 미사용 선수금의 만료 정책을 명확히 해야 함
📌 선수금이 많이 발생하는 업종 예시
- 쇼핑몰 및 전자상거래: 고객이 상품을 미리 결제하는 경우
- 학원 및 교육 서비스: 수강료를 선납하는 경우
- 건설업: 공사대금을 미리 받는 경우
- 여행사 및 호텔: 예약금을 받는 경우
- 게임 및 콘텐츠 서비스: 인앱 결제, 구독 서비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상태표상 자본금 (0) | 2025.02.13 |
---|---|
기말자본금 계산하기 (0) | 2025.02.12 |
조업도 (0) | 2025.02.09 |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 계산 (0) | 2025.02.08 |
사채발행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