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조업도
조업도(Operating Level)란?
조업도는 기업이 가동하는 생산 설비나 노동력을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보통 생산량, 기계 가동 시간, 노동 시간 등을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조업도의 개념과 특징
- 생산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조업도가 높을수록 생산량이 많고 낮을수록 생산량이 적음
- 조업도가 증가하면 단위당 고정비는 감소하지만 총변동비는 증가
- 일정 수준까지는 이익 증가 효과가 있지만, 과도한 조업도 증가는 유지비 상승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음
조업도의 측정 방법
- 생산량 기준: (실제 생산량 ÷ 최대 생산능력) × 100
- 기계 가동 시간 기준: (실제 가동 시간 ÷ 최대 가동 가능 시간) × 100
- 노동 시간 기준: (실제 근로 시간 ÷ 최대 근로 가능 시간) × 100
조업도와 원가의 관계
- 고정원가: 조업도가 증가하면 단위당 고정비는 감소
- 변동원가: 조업도가 증가하면 총 변동비는 증가하지만, 단위당 변동비는 보통 일정
조업도와 관련된 개념
- 손익분기점(BEP): 일정 조업도 이상이어야 이익 실현 가능
- 유휴설비: 조업도가 낮으면 공장 가동률 저하로 원가 부담 증가
- 한계 조업도: 너무 높은 조업도는 설비 과부하, 인력 피로, 유지비 증가 등의 문제를 초래
결론
- 조업도가 증가하면 단위당 원가 절감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음
- 하지만 최적 조업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나친 조업도 증가는 오히려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음
- 기업은 손익분기점과 최적 조업도를 고려한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말자본금 계산하기 (0) | 2025.02.12 |
---|---|
선수금이란? (0) | 2025.02.11 |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 계산 (0) | 2025.02.08 |
사채발행 (0) | 2025.02.06 |
복권 당첨금에 대한 원천징수세율 및 세금 계산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