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경학 시대란?
지경학(地經學, Geoeconomics)은 **지리(지정학)**과 경제를 결합한 개념으로, 국가가 경제력을 외교 및 전략적 도구로 사용하는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 또는 분석 틀입니다.
즉, 군사적 수단이 아닌 경제적 수단을 통해 자국의 국익을 실현하려는 전략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1. 지경학의 정의
지경학은 "경제적 수단을 사용하여 지정학적 목표를 달성하려는 전략"으로 정의됩니다. 지정학이 군사, 영토, 외교 등의 물리적 힘을 중심으로 국제 관계를 설명했다면, 지경학은 무역, 투자, 기술, 금융 제재 등 비군사적 경제 수단을 사용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에 주목합니다.
2. 지경학의 역사와 배경
- 냉전시대: 군사력 중심의 지정학이 지배
- 냉전 이후: 경제 글로벌화, 국가 간 상호의존성 증가 → 경제가 새로운 권력 수단으로 부상
- 21세기: 특히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서 지경학이 주요 전략 도구로 활용됨
3. 지경학 시대의 주요 특징
- 경제적 수단의 무기화
- 무역 제재, 투자 제한, 기술 수출 통제 등
- 예: 미국의 화웨이 제재, 반도체 수출 제한
- 공급망 통제와 리쇼어링
- 전략적 산업의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재편
- 리쇼어링(reshoring),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추세
- 국가 안보의 경제화
- 기술, 자원, 데이터 등을 안보 자산으로 인식
- 예: 반도체, 희토류, 전기차 배터리 등의 지정학적 가치 상승
- 기술 패권 경쟁
- AI, 반도체, 5G 등 첨단기술에서 국가 간 주도권 경쟁
- 기술은 경제뿐 아니라 외교, 안보에도 핵심 요소로 간주
- 경제 블록화 및 탈세계화 조짐
- 글로벌 공급망의 정치화
- EU, 미국, 중국 중심의 지역 블록 형성 강화
4. 주요 사례
사례 내용
미국 vs 중국 무역전쟁 | 관세, 수출입 제한, 화웨이 제재 등 전방위 경제 압박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러시아에 대한 금융 제재 및 에너지 의존 축소 |
중국의 희토류 통제 | 희귀 자원의 수출 제한을 통해 외교적 압박 |
미국의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 자국 내 제조업 보호 및 중국 견제 목적의 보조금 정책 |
5. 지경학 시대의 함의
- 국가 간 상호의존성 약화: 기존에는 경제 협력이 평화를 증진한다고 여겼지만, 이제는 의존 관계가 무기화될 수 있음
- 정책 통합의 중요성: 외교, 산업, 안보, 과학기술 정책이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함
- 국가 전략 변화 요구: 기업뿐 아니라 정부 차원의 전략 수립 필요
6. 한국에 대한 시사점
-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고, 미중 사이에 위치한 지정학적·지경학적 요충지
- 공급망 다변화, 기술 자립도 강화, 외교적 균형 전략이 필요
- 반도체, 배터리, 조선, 디지털 기술 등의 전략 산업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보호 필요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현대 (0) | 2025.06.01 |
---|---|
자본시장법이란? (2) | 2025.05.30 |
소득인정액 (0) | 2025.05.28 |
사모펀드란? (0) | 2025.05.27 |
국가부채가 증가하면? (0) | 202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