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통화절상
통화절상(通貨切上, Currency Appreciation)은 한 나라의 통화 가치가 다른 나라의 통화에 비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외환시장 내 수요와 공급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도 있고, 고정환율제도 하에서는 정부가 공식 환율을 상향 조정하면서 의도적으로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1. 기본 개념
통화절상이란 "자국 통화로 더 많은 외국 통화를 살 수 있게 되는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환율이 1달러 = 1,200원이던 것이 1달러 = 1,100원이 되면 원화가 절상된 것입니다. 이제 같은 1달러를 사는 데 필요한 원화가 줄어든 것이므로, 원화의 가치가 올라간 것입니다.
2. 발생 원인
통화절상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무역수지 흑자: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외국에서 자국 통화를 사는 수요가 증가하여 통화가 절상됩니다.
- 외국인 투자 증가: 외국인들이 자국 자산(주식, 부동산 등)에 투자하기 위해 자국 통화를 매입하면 수요가 증가해 절상됩니다.
- 금리 인상: 금리가 높아지면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하고 자국 통화를 사기 때문에 절상 요인이 됩니다.
- 경제 성장 기대: 경제 성장 전망이 좋으면 해당 국가의 통화 수요가 늘어 절상됩니다.
3. 경제에 미치는 영향
통화절상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가. 긍정적 영향
- 수입품 가격 하락: 원화 가치가 올라 외국 상품을 더 싸게 구매할 수 있어 수입물가가 하락합니다.
- 인플레이션 억제: 수입물가 하락은 전반적인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해외여행·유학 비용 감소: 외화 사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해외 지출이 줄어듭니다.
나. 부정적 영향
- 수출 경쟁력 약화: 자국 제품이 외국에서 상대적으로 비싸져 수출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무역수지 악화: 수입 증가와 수출 감소로 인해 무역수지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 기업 수익성 감소: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매출과 이익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4. 고정환율제 하의 통화절상
고정환율제도에서는 정부나 중앙은행이 공식 환율을 조정함으로써 통화절상을 시행합니다. 예를 들어, 1달러 = 1,200원이던 고정환율을 1달러 = 1,100원으로 변경하면 원화의 절상입니다.
5. 절상과 절하 비교
항목 통화절상 통화절하
통화가치 | 상승 | 하락 |
수출 | 불리 | 유리 |
수입 | 유리 | 불리 |
물가 | 하락 압력 | 상승 압력 |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0) | 2025.05.02 |
---|---|
넷제로(Net Zero) (0) | 2025.05.01 |
차액가맹금 (0) | 2025.04.29 |
인구요인과 소비성향(KDI) (2) | 2025.04.26 |
요구불예금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