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경제, 금융, 회계용어483

55. 양도성예금증서(NCD)_(경제금융용어) 양도성예금증서 양도성 예금 증서(NCD)는 2차 시장에서 사고팔 수 있는 예금 증서입니다. 일반적으로 며칠에서 몇 년까지 특정 만기일이 지정된 정기 예금이며 고정 이자율을 지급합니다. 타인에게 양도할 수 없는 일반 CD와 달리 NCD는 거래가 가능해 투자자에게 투자 관리에 있어 유동성과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개인이 양도성예금증서를 알아야 되는 이유 개인이 Negotiable Certificate of Deposit (NCD)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투자 옵션의 다양성: NCD는 다양한 투자 옵션 중 하나로, 금융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리스크를 분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2. 고정된 이자율과 안전성: NCD는 고정된 이자율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안전한 투자 수단으로 간주됩니다.. 2023. 10. 30.
54. 애그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은 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농산물 가격의 급격한 상승이 일반 물가의 상승을 일으키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이는 농산물의 생산이나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애그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물가 상승과 소득 감소의 부담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애그플레이션 사례 1. 곡물 가격 상승 (2007-2008): 2007년부터 2008년에 걸쳐서는 주요 곡물인 밀, 쌀, 옥수수 등의 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세계적으로 식량 가격이 상승하여 많은 국가에서 식량 부족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애그플레이션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2. 커피 가격 상승 (2010-2011): 2010년부터.. 2023. 10. 29.
53. 실질임금(경제금융 용어) 실질임금 실질임금은 급여 또는 소득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의 영향을 고려하여 조정한 값입니다. 이것은 사람들이 받는 급여 또는 소득이 물가 상승률을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얼마나 가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실질임금은 구매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실질임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실질임금=명목임금/물가 상승률 + 1 여기서, ■실질임금: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여 조정된 실제 급여 또는 소득을 나타냅니다. ■명목임금: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임금을 현재의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을 나타냅니다. ■물가 상승률: 특정 기간 동안 물가가 얼마나 상승했는지를 나타내는 백분율입니다. 예를 들어, 만약 물가 상승률이 3%이고 명목임금이 100만 원이라면 실질임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 2023. 10. 28.
52. 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ith Warrant(BW)_(경제금융 용어) 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ith Warrant(BW) 신주인수권부사채(신주인수권부사채, subscription warrant bonds)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증권입니다. 이는 주식 발행 옵션을 부여받은 채권으로, 투자자에게 특정 가격과 일정 기간 동안 회사의 주식을 구매할 권리를 제공합니다. 주식 옵션은 일반적으로 특정 시점에서 주식을 특정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나타냅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되는 이유 신주인수권부사채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들의 투자 유인을 높이기 위해 발행됩니다. 이러한 증권이 발행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금 조달: 신주인수권부사채는 기업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확장, 연구 및 개발 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 2023. 10. 27.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