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경제, 금융, 회계용어454

2. 경기동향지수(경제/금융용어)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로서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라고도 한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문으로부터 전체 경제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때 경제지표 간의 연관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변동 방향만을 종합하여 지수로 만든다. 경기종합지수와 같이 선행·동행·후행지수로 작성되며, 계절변동과 불규칙 요인이 제거된 전체 계열 중에서 전월에 비해 증가한 지표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10개의 대표 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경기확산지.. 2023. 9. 7.
1. 가산금리(경제/금융용어) 가산금리란? 가산금리는 대출 상품이나 신용카드 등에서 기본 이자율에 추가로 부과되는 금리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산금리는 대출 또는 신용카드 발급 시 책정된 신용등급, 상환능력, 보증인 유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가산금리는 대출 상품의 이자율을 조절하여 금융기관이 대출의 위험성을 감안하고 수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좋은 신용등급이나 안정적인 소득을 가진 고객은 낮은 가산금리를 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낮은 신용등급이나 불안정한 소득 상황의 고객은 높은 가산금리를 부과받게 됩니다. 가산금리는 개별 금융기관이 자체적으로 책정하므로, 기업마다 다른 기준과 요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동일한 대출 상품이더라도 금융기관마다 가산금리가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와 관련 규제 기관들은 소비자 .. 2023. 9. 6.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