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경제, 금융, 회계용어461 5. 고정금리(경제금융 용어) 고정금리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하며 변동금리란 일정 주기별로 시장 금리를 반영하여 약정금리가 변동하는 금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기 1년, 약정금리는 4%의 고정금리라면 약정기간 1년 동안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해당 약정금리는 4%이다. 반면 만기 1년, 변동주기 3개월, 약정금리는 CD금리+0.5%(또는 50bp)의 변동금리라면 3개월에 한 번씩 변동된 CD금리에 연동하여 약정금리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CD금리가 최초 약정 시 3.0%, 약정 3개월 후 3.2%, 6개월 후 3.5%, 9개월 후 4.0%라면 약정금리는 최초 약정 시 3.5%, 약정 3개월 후 3.7%, 6개월 후 4.0%, 9개월 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돈 빌리.. 2023. 9. 10. 4. 고용률(경제금융 용어) 고용률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한편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고용률은 실업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통계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즉, 고용통계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고 있음에 따라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어 체감하는 실업률과 차이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단시간근로자 및 일시휴직.. 2023. 9. 9. 3. 경상수지(경제금융용어) 경상수지란? 경상수지는 한 국가의 수출과 수입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경상수지는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국가의 경제적인 성과와 균형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경상수지는 보통 기간별로 산출되며, 일반적으로 연도별로 계산됩니다. 경상수지는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차감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이때, 수출은 국가 내에서 생산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외국으로 판매하는 것을 의미하고, 수입은 외국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여 국내로 가져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상수지가 양수인 경우에는 국가의 총수출액이 총수입액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국가의 경제적인 성과가 좋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상수지가 음수인 경우에는 총수입액이 총수출액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해당 .. 2023. 9. 8. 2. 경기동향지수(경제/금융용어)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로서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라고도 한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문으로부터 전체 경제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때 경제지표 간의 연관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변동 방향만을 종합하여 지수로 만든다. 경기종합지수와 같이 선행·동행·후행지수로 작성되며, 계절변동과 불규칙 요인이 제거된 전체 계열 중에서 전월에 비해 증가한 지표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10개의 대표 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경기확산지.. 2023. 9. 7. 이전 1 ··· 112 113 114 115 116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