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경제, 금융, 회계용어516

35. 변동금리 floating rate(경제금융 용어) 변동금리 floating rate 변동금리란 고정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이자율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정한 기준금리나 은행 간 대출금리와 같은 기준금리에 묶여 있습니다. 기준금리는 변동금리를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대출이나 금융상품의 경우 변동금리는 기준금리에 스프레드를 더한 것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LIBOR(London Interbank Offered Rate)이고 스프레드가 2%인 경우 변동금리는 LIBOR + 2%가 됩니다. 변동 금리의 장점은 시장 상황에 맞춰 조정될 수 있고 일반적인 금리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변동금리도 상승해 차입자의 차입비용이 높아진다. 반대로,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차.. 2023. 10. 10.
34. 베블런 효과(Veblen's effect)/ (경제금융 용어) 베블런효과(Veblen's effect)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하는 수요의 법칙에 반하는 재화를 베블런 재라 부른다. 사치재 또는 명품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재화는 가격이 비쌀수록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베블렌 상품 또는 과시적 소비라고도 알려진 베블렌 효과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경제학 현상을 말합니다. 이 개념은 미국의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Veblen)이 1899년에 출판한 그의 저서 『여가계급 이론』에서 소개되었습니다. Veblen에 따르면 일부 명품이나 지위 상징은 가격과 수요 사이에 역의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특정 소비자 부문의 선호도와 수요도 증가합니다. 이는 이러한 상품.. 2023. 10. 9.
33. 뱅크런(경제금융 용어) bank run 뱅크런 (bank run) 뱅크런은 은행의 대규모 예금인출사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금융시장 상황이 불안하거나 은행의 경영 및 건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하면 예금자들은 은행에 맡긴 돈을 보장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불안감에 저축한 돈을 인출하게 되고 은행은 지급할 수 있는 자금이 부족하게 되어 패닉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이를 뱅크런(bank run)이라 부르며 예금보험공사는 뱅크런과 이로 인한 금융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해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5,000만 원까지의 예금을 보호해주고 있다. 뱅크런이 일어나면 나타나는 현상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1. 현금 부족: 많은 예금자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인출하려고 하면 은행은 현금 부족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 2023. 10. 8.
31. 물가지수(경제금융 용어) 물가지수 시장에서 거래되는 여러 가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경제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물가라고 하는데, 이 같은 물가의 변화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기준연도의 물가 수준을 100으로 놓고 비교되는 다른 시점의 물가를 지수의 형태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1.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가지수로, 일반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합니다. CPI는 주로 식료품, 주택, 교육, 의료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며, 경제학자와 정부 기관은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추세를 파악하고 정책 결정에 활용합니다. 2. 생산자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 2023. 10. 6.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