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가계대출 연체율 및 다중채무

by 자부리 2025. 4. 17.
728x90
반응형

가계대출 연체율 및 다중채무

가계대출 연체율 및 다중채무

1. 가계대출 연체율이란?

정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가계(개인 및 가정)에 대출한 금액 중 정해진 기간(통상 1개월 이상) 이내에 상환되지 않은 금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산식 예시:
가계대출 연체율 = (연체된 대출금 / 전체 가계대출금) × 100

종류에 따른 분류:

  • 단기 연체(1~3개월): 일시적 자금부족
  • 장기 연체(3개월 이상): 상환능력의 구조적 문제

원인 예시:

  • 금리 인상 → 이자 부담 증가
  • 경기 침체 → 소득 감소 및 실직
  • 자산가치 하락 → 부동산·주식 담보가치 하락

2. 다중채무란?

정의: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의 금융기관(은행,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으로부터 대출을 보유한 개인을 의미합니다.

특징:

  • 이자율 격차: 상대적으로 고금리 상품에 노출됨
  • 상환 우선순위: 대출기관 간 이자율 및 상환조건이 달라 복잡한 재정 상황 초래
  • 취약성: 소득의 일정 비율 이상을 부채상환에 사용해야 하는 고위험군

원인:

  • 기존 채무 상환을 위한 '돌려 막기' 방식의 대출
  • 생계자금 확보, 사업 실패 등

3. 이런 현상들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

금융시스템 안정성 저하

  • 연체율 상승 → 은행 등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 악화
  • 부실채권 증가 → 금융기관의 건전성 지표(예: BIS비율) 하락
  • 신용경색 가능성 → 금융기관이 신규대출을 줄이고, 금리 인상

가계 소비 위축

  • 부채 상환 부담으로 인해 가계의 소비 여력 감소
  • 내수 경기 침체 → 기업 매출 감소 → 고용 위축 → 경기 둔화의 악순환

부동산 및 자산시장 충격

  • 담보가치 하락 시 부실 대출 확대
  • 연체와 채무불이행 증가 → 압류, 경매 확산 → 자산가격 하락 심화

금리 및 통화정책에 제약

  •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경제를 부양하려 해도, 과도한 가계부채는 통화정책의 효과를 제한
  • 금리 인상 시에는 부채 부담 급증 → 취약계층의 연체율 급등

사회적 문제 증가

  • 개인파산, 신용불량자 증가
  • 사회적 불평등, 계층 간 격차 심화
  • 금융소외자 증가 → 비제도권 금융시장(고리대금)으로 유입

정부 재정 부담 증가

  • 구조조정 및 구제금융 필요 시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
  • 실업률 증가에 따른 복지 지출 확대

4. 대응 방안(정부 및 정책 측면)

  •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상환능력 심사 강화, 대출 총량 관리
  • 채무조정 프로그램 확대: 신용회복위원회 등의 중재 및 채무 재조정
  • 포용적 금융 확대: 저소득층·저신용자를 위한 금융 상품 도입
  • 거시건전성 관리: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등 강화
  • 금융교육 확대: 부채관리, 신용관리 등에 대한 국민 교육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팜에어 한경농산물 가격지수  (0) 2025.04.19
위험가중자산 RWA  (0) 2025.04.18
기술특례상장제도  (0) 2025.04.16
종합투자계좌 IMA  (0) 2025.04.15
미국단기채권에 투자가 많은 이유  (0)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