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교부주식배당금
미교부주식배당금은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에서 주식배당이 결의되었지만, 아직 실제로 주주에게 발행되지 않은 주식배당금을 의미합니다. 이 금액은 재무상태표에서 이익잉여금에 포함되며, 주식배당이 교부되기 전까지 기업이 주주에게 지급해야 할 책임을 나타냅니다.
미교부주식배당금의 주요 특징
- 발생 시점:
- 주식배당이 결의되었으나 아직 신주 발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 일반적으로 배당 결의일(예: 주주총회 날짜)과 신주 발행일(실제 주식 교부일) 사이에 존재합니다.
- 회계 처리:
- 주식배당이 결의되면, 미교부주식배당금은 이익잉여금에서 차감하여 표시합니다.
- 차감된 금액은 미교부 상태에서 해당 항목으로 별도 표시됩니다.
- 주식 발행 이후 처리:
- 신주가 발행되면, 미교부주식배당금 계정은 소멸하고, 해당 금액이 자본금 및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이전됩니다.
- 예:
- 주식의 액면금액은 자본금에 반영됩니다.
- 액면금액 초과분은 **자본잉여금(주식발행초과금)**으로 반영됩니다.
- 재무제표 표시 위치:
- 신주 발행 전: 이익잉여금 내에서 미교부 주식배당금으로 구분하여 기재합니다.
- 신주 발행 후: 해당 금액이 자본금과 자본잉여금으로 이동합니다.
예시
상황:
- 주주총회에서 3,000,000원의 주식배당 결의.
- 주식의 액면가: 1,000원
- 주식발행 예정 수: 3,000주
회계처리:
-
- 이익잉여금 감소: 3,000,000원
- 미교부주식배당금 계정 설정: 3,000,000원결의일 기준:
차변: 이익잉여금 3,000,000원 대변: 미교부주식배당금 3,000,000원- 자본금 증가: 3,000주 × 액면가 1,000원 = 3,000,000원
- 미교부주식배당금 소멸주식 발행일 기준
-
차변: 미교부주식배당금 3,000,000원 대변: 자본금 3,000,000원
재무상태표의 반영
- 미교부 상태:
자본 이익잉여금 4,500,000원 - 이익준비금 1,000,000원 - 임의적립금 500,000원 - 미교부주식배당금 3,000,000원
- 주식 발행 후:
자본 자본금 18,000,000원 - 보통주 자본금 15,000,000원 - 신주발행 자본금 3,000,000원
이처럼 미교부주식배당금은 주식배당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존재하며, 기업의 재무상태와 자본구조에 영향을 미칩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수합계법 (1) | 2025.01.05 |
---|---|
실제 작업시간과 실제임률 (1) | 2025.01.04 |
연불조건 (Deferred Payment Terms) (3) | 2025.01.02 |
법인세법상 부당행위계산 부인 (2) | 2024.12.31 |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