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연수합계법

by 자부리 2025. 1. 5.
728x90
반응형

연수합계법

연수합계법

 

**연수합계법(Year-Sum Method)**은 고정자산의 감가상각 방법 중 하나로, 자산의 초기 사용 기간에 더 많은 감가상각비를 인식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줄어드는 방식입니다. 이는 자산의 가치가 초기 사용 기간 동안 더 빠르게 감소한다고 가정하는 방식에 기반합니다.

연수합계법의 특징

  1. 감가상각비의 가속화
    • 자산의 초기 사용 연도에 더 많은 비용을 인식하므로, 자산의 사용 초기에 수익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경우 유용합니다.
  2. 총 연수 계산
    • 자산의 내용 연수를 기준으로 1부터 내용 연수까지의 숫자를 모두 더한 값을 "연수합계"로 계산합니다.
    • 예를 들어, 자산의 내용 연수가 5년이라면: 1+2+3+4+5=151 + 2 + 3 + 4 + 5 = 15 따라서 연수합계는 15가 됩니다.
    • 각 연도의 감가상각비는 "잔존 내용 연수"를 "연수합계"로 나눈 값을 기준으로 산출합니다.
    • 첫해에는 가장 높은 비율로, 마지막 해에는 가장 낮은 비율로 감가상각됩니다.

예시

자산가액이 1,000,000원, 잔존가치가 100,000원, 내용 연수가 5년인 경우:

  1. 연수합계 계산: 1+2+3+4+5=15
  2. 감가상각비 계산

장점과 단점

장점

  • 자산의 초기 사용 기간에 더 많은 비용을 인식하므로, 자산의 사용 패턴에 더 적합할 수 있음.
  • 초기 수익률이 높은 경우 세금 절감 효과가 있을 수 있음.

단점

  • 시간이 지나면서 비용이 감소하므로, 자산의 사용 후반기에 이익이 과대평가될 수 있음.
  • 복잡한 계산으로 인해 적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음.

연수합계법은 주로 특정 유형의 자산이나 사업에 적합할 수 있으며, 다른 감가상각 방법과 비교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