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by 고독한 탈무드 2025. 5. 22.
728x90
반응형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1. 기본 개념

  • 변동금리란 시장금리의 변화에 따라 대출금리도 변하는 방식입니다.
  • 보통 3개월, 6개월, 1년 등 일정한 주기마다 금리가 재조정됩니다.

2. 금리 구성 방식

변동금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 기준금리: 시장금리를 반영하는 금리로, 예를 들어 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은행채 금리, 신잔액기준 COFIX, 기준금리(KB금리 등) 등이 사용됩니다.
  • 가산금리: 은행이 고객의 신용도, 대출조건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금리입니다. 은행 수익과 리스크를 반영합니다.

예시)
변동금리 = 기준금리(2.5%) + 가산금리(1.5%) → 최종 대출금리 4.0%


3. 특징

장점

  • 초기 금리가 낮은 경우가 많음: 고정금리보다 일반적으로 초기 금리가 낮아 월 상환액이 적습니다.
  • 시장금리 하락 시 유리: 기준금리가 하락하면 대출금리도 함께 내려가 부담이 줄어듭니다.

단점

  • 금리 상승 리스크: 시장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도 올라 월 상환액이 늘어나게 됩니다.
  • 가계 재무 불안정성: 금리 상승에 따라 원리금 부담이 급격히 커질 수 있어 장기적인 재무계획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4. 적용 대상

  • 일반 주택 구입자, 전세자금대출, 주택담보대출 등을 받을 때 선택 가능
  • 신용등급이 양호하거나 단기 내 상환할 계획이 있는 경우 선호되는 방식

5. 금리 변경 주기

  • 보통 3개월, 6개월, 12개월 단위로 금리가 재조정됩니다.
  • 금리 조정 전 일정 기간(예: 1~2개월 전)에 통보를 받게 됩니다.

6. COFIX 기준금리란?

  • COFIX(Cost of Funds Index)는 국내 8개 은행이 자금을 조달한 평균 비용을 바탕으로 산정됩니다.
  • 종류:
    • 신규취급액 기준 COFIX: 신규로 조달한 자금을 기준으로 하며 변동폭이 크고 민감합니다.
    • 신잔액 기준 COFIX: 전체 대출잔액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입니다.

7.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비교

구분                                  변동금리형                                                                      고정금리형

 

금리 수준 초기 낮음 초기 높음
금리 안정성 낮음 (시장금리에 따라 변동) 높음 (만기까지 고정)
적합 대상 단기 대출자, 금리 하락 기대자 장기 대출자, 금리 상승 우려자
 

8. 주의사항

  • 금리상승 시 상환액 급등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환 계획을 여유 있게 세워야 합니다.
  • 금리 변동 주기상환 조건을 꼼꼼히 비교해야 하며, 금리 상승 스트레스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화절상  (0) 2025.05.24
관세인상/ 달러절하  (0) 2025.05.23
전기요금거래비례제  (0) 2025.05.21
고용허가제 근로자  (0) 2025.05.19
스윙보터(Swing Voter)  (1)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