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관측경제
비관측경제(Non-Observed Economy, NOE)란?
비관측경제는 국내총생산(GDP)에 포함되어야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통계적으로 관측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관측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민계정 통계의 완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됩니다.
비관측경제의 주요 분류 항목
1. 경제적 비관측(Economic underground): 매출 과소보고, 세금 회피 등 경제적 동기에 의한 비관측 활동
2. 통계적 비관측(Statistical underground): 통계 조사 과정에서 누락되거나 과소 집계된 경제 활동
3. 비공식 부문(Informal sector): 등록되지 않은 소규모 자영업, 가사 서비스 등 비공식 경제 활동
4. 불법 활동(Illegal activities): 마약 거래, 밀수 등 불법적인 경제 활동
비관측경제의 원인
1. 경제적 유인: 세금 회피, 규제 회피 등 경제적 이득을 위한 동기
2. 통계 조사의 한계: 표본 조사의 한계, 응답자의 비협조 등으로 인한 통계 누락
3. 제도적 요인: 복잡한 규제, 행정 절차 등으로 인한 비공식 부문 확대
비관측경제의 영향
1. 국민계정 통계의 정확성 저하: GDP, 고용률 등 주요 경제지표의 왜곡
2. 정부 정책 수립의 어려움: 정확한 경제 상황 파악이 어려워 효과적인 정책 수립이 어려움
3. 공정한 경쟁 환경 저해: 비관측 활동으로 인한 불공정 경쟁 발생
비관측경제 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
1. 통계 조사 및 집계 방법 개선: 표본 확대, 응답자 협조 유도 등을 통한 통계 정확성 제고
2. 규제 및 세제 개선: 복잡한 규제 완화, 세금 부담 완화 등을 통한 비관측 활동 유인 감소
3. 비공식 부문의 공식화: 소상공인 지원, 사회보장제도 확대 등을 통한 비공식 부문의 공식화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테리스 패러버스 (Ceteris Paribus) (0) | 2024.07.20 |
---|---|
래퍼곡선 (0) | 2024.07.19 |
사모펀드/ 차입매수기법 (0) | 2024.07.14 |
불태화 정책 (0) | 2024.07.13 |
불완전경쟁시장 (0) | 202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