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by 자부리 2025. 4. 7.
728x90
반응형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경기 침체(Stagnation)"와 "물가 상승(Inflation)"이 동시에 발생하는 매우 이례적이고 복합적인 경제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은 동시에 나타나기 어려운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학적으로도 매우 주목받는 상태입니다.


1. 스태그플레이션의 정의

스태그플레이션은 다음 세 가지 요소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 경제성장률 둔화 또는 마이너스 성장(침체)
  • 높은 실업률
  • 높은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

즉, 경제는 침체되고 있어 사람들의 소득이나 소비는 줄어들고 있는데, 동시에 물가는 계속 오르는 기현상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2. 일반적인 경제 이론과의 충돌

보통 경제가 침체되면 소비와 투자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물가도 함께 안정되거나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이와 달리, 수요는 약한데도 공급 측 요인 때문에 물가가 오르는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정책 대응이 매우 어렵습니다.


3. 발생 원인

스태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급 충격 (Cost-push Inflation):
    원자재 가격 상승, 특히 에너지(석유, 가스) 가격이 급등하면 생산비가 상승하여 전반적인 물가가 오릅니다. 동시에 기업 활동이 위축되고 고용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통화 및 재정정책의 부작용:
    경기 부양을 위해 과도한 유동성을 공급했을 때, 공급이 따라주지 못하면 인플레이션이 유발되면서 실질 구매력은 오히려 떨어집니다.
  • 글로벌 공급망 문제:
    팬데믹 이후와 같이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거나 차질이 생기면, 물자는 부족한데 수요는 유지되거나 회복되면서 물가가 상승합니다.

4. 현재 경제 상황과의 관련성

최근 글로벌 경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어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 고금리 정책: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이로 인해 소비·투자·고용이 위축되고 있습니다.
  • 공급 측 불안정: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긴장 등으로 원자재와 에너지 가격이 불안정합니다. 이로 인해 공급 비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 물가 상승 지속: 일부 국가는 고금리에도 불구하고 생활물가(식료품, 에너지, 주거비 등)가 쉽게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경기 둔화 우려 속에 물가가 여전히 높은, 전형적인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5. 정책 대응의 어려움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정책 당국이 매우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합니다.

  •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추면 → 물가가 더 오를 수 있음
  •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면 → 경기가 더 침체될 수 있음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대매매란?  (0) 2025.04.09
조세귀착의 정의  (1) 2025.04.08
보복관세 시행 시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  (1) 2025.04.06
보복관세란?  (0) 2025.04.05
관세란?  (0)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