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어드십 코드
스튜어드십 코드 개요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가 투자 대상 기업의 경영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행동 지침'입니다. 기관투자자는 고객, 수익자 등 타인의 자산을 관리·운영하는 수탁자로서의 책임을 충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투자자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 스튜어드십 코드의 목적입니다.
스튜어드십 코드의 주요 원칙
1. 기관투자자의 책임 이행 정책 수립 및 공개: 기관투자자는 고객, 수익자 등 타인 자산을 관리·운영하는 수탁자로서의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명확한 정책을 마련하고 이를 공개해야 합니다.
2. 투자 대상 기업에 대한 모니터링과 의결권 행사: 기관투자자는 투자 대상 기업의 현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의결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해야 합니다.
3. 투자 대상 기업과의 공감대 형성 및 대화 활성화: 기관투자자는 투자 대상 기업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공감대를 형성해야 합니다.
4. 투자 및 의결권 행사 결과에 대한 공개: 기관투자자는 투자 및 의결권 행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5. 책임 있는 투자자로서의 역할 수행: 기관투자자는 투자 대상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 배경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활동을 통해 기업의 장기적 가치 창출을 도모하고자 도입되었습니다. 특히 국민연금과 같은 대형 기관투자자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이들의 책임 있는 투자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스튜어드십 코드가 마련되었습니다.
스튜어드십 코드의 기대 효과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으로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활동이 활성화되면,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투자자의 이익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실제로 국민연금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로 인해 기업의 배당이 늘어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추가 정보: 스튜어드십 코드의 국제적 동향
스튜어드십 코드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영국, 일본, 싱가포르 등 주요 국가에서도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여 기관투자자의 책임 있는 투자 활동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와 투자자 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의 책임 있는 투자 활동을 유도하여 기업과 투자자 모두의 이익을 보호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DS(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0) | 2024.07.24 |
---|---|
경제세민 (0) | 2024.07.22 |
세테리스 패러버스 (Ceteris Paribus) (0) | 2024.07.20 |
래퍼곡선 (0) | 2024.07.19 |
비관측경제 (1)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