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본 리쇼어링
자본 리쇼어링(capital reshoring)은 기업이 과거에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 설비 투자, 금융 자본 등을 본국(모기업이 위치한 나라)으로 다시 되돌리는 경제적 활동을 말합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정, 지정학적 갈등,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의 영향으로 자본 리쇼어링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아래는 자본 리쇼어링의 개념, 배경, 유형, 효과 등을 항목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자본 리쇼어링의 정의
- 해외로 이전했던 자본(투자, 생산시설, 고용 등)을 자국으로 다시 가져오는 과정입니다.
- 일반적으로 제조업체들이 저렴한 인건비를 찾아 해외로 이전했다가, 다양한 이유로 다시 본국에 투자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2. 자본 리쇼어링이 일어나는 배경
-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증가: 코로나19 팬데믹,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무역전쟁 등으로 해외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남.
- 국내 산업 보호 정책: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이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보조금, 세금 감면, 규제 완화 등 인센티브 제공.
- 기술 보안 및 국가안보 고려: 핵심 기술 유출 방지 및 국가 안보 차원의 전략 산업 보호 필요성 대두.
- 친환경 요구 증가: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글로벌 이동보다는 지역 중심의 생산 구조가 선호됨.
- 디지털 제조기술의 발달: 자동화, 로봇공학, 인공지능 등으로 인건비 절감 효과가 줄어들어 저임금 국가에 생산기지를 둘 필요성이 감소.
3. 자본 리쇼어링의 유형
- 생산 리쇼어링: 해외 공장을 폐쇄하거나 축소하고 국내로 이전함.
- 서비스 리쇼어링: 콜센터,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서비스 업무를 다시 국내로 복귀시킴.
- 자금 리쇼어링: 해외에 쌓아둔 이익잉여금이나 금융 자산을 국내로 송환함.
- R&D 리쇼어링: 연구개발 기능을 해외에서 국내로 이전함.
4. 자본 리쇼어링의 장점
- 국내 고용 창출: 생산기지와 서비스 센터의 국내 이전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짐.
- 산업 경쟁력 강화: 자국 내 제조기반 회복 및 기술 내재화 가능.
- 공급망 안정성 확보: 외부 충격에 덜 취약한 안정적인 생산 구조.
- 세수 확보: 해외에 쌓인 이익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세수 증대.
5. 자본 리쇼어링의 단점 또는 한계
- 비용 증가: 국내 인건비 및 규제 부담으로 인해 비용 상승 가능성.
- 인프라 부족: 국내에 제조기반이나 숙련 인력이 부족할 경우 효과 제한.
- 단기적인 유입 가능성: 세금 감면 등의 인센티브 종료 시 다시 해외로 이전할 수 있음.
6. 사례
- 미국: 트럼프, 바이든 정부 모두 제조업 리쇼어링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 예: 애플이 일부 맥 제품의 미국 생산 확대.
- 일본: 코로나19 이후 중국에 집중된 공급망을 분산하기 위해 리쇼어링 보조금 지급.
- 유럽연합: 전략 산업(반도체, 배터리 등)의 유럽 내 생산 확대 추진.
7. 정책적 지원
- 각국 정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리쇼어링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 법인세 감면, 투자 세액 공제
- 인프라 구축 및 산업단지 제공
- R&D 보조금 및 인력 양성 지원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IT 의미 (0) | 2025.05.12 |
---|---|
스테이블코인 (1) | 2025.05.12 |
분산에너지법 (0) | 2025.05.10 |
가상자산 FIU 갱신신고 (0) | 2025.05.09 |
글로벌핵심성과지표 GKPI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