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회계용어

자체 기획 상품(PB, Private Brand)

by 자부리 2025. 3. 29.
728x90
반응형

자체 기획 상품(PB, Private Brand)

자체 기획 상품(PB, Private Brand)

 

쿠팡, CU, 무신사 등과 같은 기업들이 자체 기획 상품(PB, Private Brand)을 만드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마진율 향상 및 수익 극대화

PB 상품은 중간 유통업체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제조·기획하기 때문에 브랜드 제품 대비 원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높은 마진을 확보하여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가격 경쟁력 확보

PB 상품은 기존 브랜드 제품보다 저렴한 가격에 제공될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가성비 좋은 선택지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할인 경쟁이 심한 온라인 및 편의점 업계에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3. 브랜드 차별화 및 충성 고객 확보

PB 상품을 통해 기업만의 독자적인 브랜드 정체성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신사는 트렌디한 스트리트 패션을 반영한 PB 브랜드를 출시하여 기존 브랜드와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4. 소비자 데이터 활용 및 맞춤형 제품 기획

쿠팡, 무신사와 같은 플랫폼들은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활용해 고객 선호도를 분석하고, 시장에서 수요가 높은 상품을 기획할 수 있습니다. 기존 브랜드보다 더 빠르게 트렌드에 대응하는 상품을 내놓을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5. 공급망 및 재고 관리 효율성 증가

자체 브랜드를 운영하면 공급망을 직접 통제할 수 있어 재고 관리가 용이합니다. 특히 쿠팡처럼 물류 시스템을 갖춘 기업은 PB 상품을 통해 효율적인 재고 운영이 가능하며, 빠른 배송 서비스(로켓배송 등)와 결합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6. 입점 브랜드와의 협상력 강화

PB 상품이 많아질수록 기존 브랜드 제품들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가령, 무신사가 자체 PB 브랜드의 점유율을 높이면, 다른 브랜드들에게 더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도록 압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많은 유통업체와 온라인 플랫폼이 PB 상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각전 영업이익(EBITDA)  (0) 2025.03.31
공매도란?  (0) 2025.03.30
지분형 주택금융이란?  (1) 2025.03.28
키코(KIKO, Knock-In Knock-Out) 사건  (0) 2025.03.27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이란?  (0)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