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차변과 대변
**차변(Debit)**과 **대변(Credit)**은 회계에서 거래를 기록할 때 사용하는 기본적인 개념으로, 각각 특정한 방향으로 재무 상태나 거래를 반영합니다.
1. 차변(Debit)과 대변(Credit)의 기본 개념
- 차변(Debit):
- 자산의 증가 또는 비용의 발생을 기록.
- 예: 현금 증가, 상품 구매, 직원 급여 지급.
- 대변(Credit):
- 부채의 증가, 자본의 증가 또는 수익의 발생을 기록.
- 예: 매출 발생, 은행 대출, 투자금 증가.
2. 기본 원리 (복식부기 규칙)
모든 거래는 차변과 대변이 반드시 동일한 금액으로 기록됩니다. 즉, 거래는 항상 균형(balance)을 이룹니다.
거래 기록 원칙:
- 자산이 증가하면 차변, 감소하면 대변.
- 부채/자본이 증가하면 대변, 감소하면 차변.
- 수익은 대변, 비용은 차변.
3. 차변과 대변의 실제 예시
(1) 자산이 증가하는 경우
상황: 회사가 은행에서 100만원 대출을 받아 현금을 받음.
- 차변: 현금(자산) 1,000,000원 증가.
- 대변: 대출금(부채) 1,000,000원 증가.
분개:
차변: 현금 1,000,000
대변: 대출금 1,000,000
(2)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상황: 직원 급여로 200만원 지급.
- 차변: 급여(비용) 2,000,000원 발생.
- 대변: 현금(자산) 2,000,000원 감소.
분개:
차변: 급여 2,000,000
대변: 현금 2,000,000
(3) 상품을 판매한 경우 (매출 발생)
상황: 고객에게 500만원어치 상품을 판매하고, 현금으로 받음.
- 차변: 현금(자산) 5,000,000원 증가.
- 대변: 매출(수익) 5,000,000원 발생.
분개:
차변: 현금 5,000,000
대변: 매출 5,000,000
4. 실생활에 적용
- 사업 초기: 창업 자금 1천만원을 입금 → 차변: 현금, 대변: 자본금.
- 운영 중: 상품을 구매하고 비용 지급 → 차변: 재고자산/비용, 대변: 현금.
- 매출 발생: 고객에게 판매 → 차변: 현금/매출채권, 대변: 매출.
이처럼 차변과 대변은 모든 거래를 정리하고 기록하는 기본 틀입니다.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계산서, 거래명세서, 그리고 대체전표 (1) | 2024.12.22 |
---|---|
판매장려금의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1) | 2024.12.21 |
간이과세자가 일반과세자로 전환신청 (1) | 2024.12.19 |
전단계세액공제법과 전단계거래공제법 (2) | 2024.12.18 |
부가가치세 생산지국과세 (2)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