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풋백옵션(Put-back Option) 정의
1. 풋백옵션(Put-back Option) 정의
풋백옵션은 자산 보유자가 일정한 시점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해당 자산을 발행자에게 다시 되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즉, 투자자에게 유리한 권리이며, 옵션의 행사 여부는 투자자가 선택합니다.
2. 풋옵션과의 차이
- 풋옵션: 일반적으로 금융시장에서 매수되는 옵션 상품. 거래 상대방은 특정 발행자일 필요 없음.
- 풋백옵션: 특정 채권이나 주식에 조건부로 내장되어 있는 권리이며, 발행자가 의무적으로 되사야 할 수 있음.
3. 풋백옵션의 활용 목적
- 투자자 입장에서:
- 금리가 상승하거나 발행자의 신용도가 악화되었을 때 손실 회피 수단으로 사용
- 유동성 보장
- 발행자 입장에서:
- 조달금리 인하 효과: 투자자에게 유리한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낮은 이율로 자금을 조달 가능
4. 대표적인 적용 사례
(1) 회사채에서의 풋백옵션
- 예시: A기업이 5년 만기 회사채를 발행하면서 3년 후 투자자가 원하면 회사가 액면가로 되사는 조건(풋옵션)을 부여
- 투자자 입장에서는 만약 시장금리가 상승하거나 A기업의 신용도가 나빠졌을 경우, 3년 뒤에 풋옵션을 행사해서 손실을 줄일 수 있음
(2) 상환우선주에서의 풋백옵션
- 예시: 투자자가 B기업의 상환우선주를 인수하면서 5년 후 액면가에 되팔 수 있는 권리 보유
- B기업이 배당을 연체하거나, 주가가 크게 하락해도 투자자는 원금 회수를 보장받을 수 있음
5. 예시 시나리오
상황:
- C회사: 2023년에 3년 만기, 연 4% 이자, 액면가 1,000원의 사채 발행
- 옵션 조건: 2년이 지난 시점(2025년)에 투자자가 원하면 액면가로 조기 상환 가능 (풋백옵션)
시나리오 A – 시장금리 상승:
- 2025년 시점에 시장금리가 6%로 상승 → 새 채권의 수익률이 더 높음
- 투자자: 손해보지 않기 위해 C회사에 풋옵션을 행사해 원금 1,000원을 회수 → 더 나은 수익의 다른 채권에 투자 가능
시나리오 B – C회사 신용 악화:
- 회사가 재무적으로 어려워짐 → 시장에서는 C회사 채권 가격이 800원으로 하락
- 투자자: 시장에서 팔면 손해 → 풋백옵션 행사로 1,000원에 되팔고 손실 회피
6. 회계 처리 및 기업 입장
- 발행자 입장: 풋옵션 행사 가능성이 있으면 일정 조건 하에서 부채로 분류하거나, 조기 상환 가능성 반영한 이자율 사용
- 투자자 입장: 풋옵션은 투자 안정성을 높이므로, 일정 상황에서는 투자자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평가됨
7. 요약
항목설명
권리 보유자 | 투자자 또는 자산 보유자 |
행사 의무자 | 자산의 발행자 (회사 등) |
행사 시점 | 사전에 정해진 시기 또는 조건 충족 시 |
효과 | 투자자 보호, 조기 손실 회피 가능 |
유사 개념 | 콜백옵션 (발행자가 조기상환할 수 있는 권리) |
반응형
LIST
'경제, 금융, 회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투자계좌 IMA (0) | 2025.04.15 |
---|---|
미국단기채권에 투자가 많은 이유 (0) | 2025.04.14 |
고관세 고환율 (0) | 2025.04.12 |
세계국채지수(WGBI) (0) | 2025.04.11 |
소액 면세제도란? (0) | 2025.04.10 |